반응형

최근 항공기 내 보조배터리로 인한 화재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국내 주요 항공사들이 보조배터리 관련 규정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여행객 여러분의 안전한 비행을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최신 보조배터리 보관 규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변경사항

 

주요 변경사항

보조 배터리 이해를 돕는 사진 첨부

1. 직접 소지 의무화

모든 항공사에서 보조배터리의 기내 선반 보관을 금지했습니다.

승객은 보조배터리를 반드시 몸에 직접 소지하거나 눈에 보이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2. 체크인 시 동의 정차 추가

제주항공의 경우, 체크인 과정에서 보조배터리 관련 규정에 대한 동의 절차를 추가했습니다.

모바일이나 키오스크로 체크인할 때 관련 애용을 확인하고 동의해야 수속이 가능합니다. 

 

3. 용량별 반입 제한

100Wh이하 : 별도 승인 없이 기내 반입 가능

(대부분의 10,000mAh, 20,000 mAh 보조배터리 해당)

100Wh초과 ~ 160Wh 이하 :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 최대 2개까지 반입 가능

160Wh 초과 : 기내 반입 및 위탁수하물 운송 모두 금지

 

항공사별 주요 규정

1. 제주 항공

 

 

 

 

2025년 2월 6일부터 새규정 시행

체크인 시 보조배터리 관련 동의 절차 추가

 

 

 

 

100Wh이하 보조배터리 5개이하, 100Wh초과 160Wh이하는 2개까지 허용

 

2. 대한항공 과 아시아나항공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보관 금지

승객이 직접 휴대해야 함

배터리 관련 안전 수칙 강화 및 안내문 비치

3. 에어부산

2025년 2월 7일부터 새 규정 시행

휴대 수하물 내 리튬이온 배터리 점검 강화

기내 선반에 보관 금지

 

여행객들이 주의해야 할 사항

1. 용량 확인

출발 전 보조배터리의 용량(Wh)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용량 계산법 : (mAh*전압)/1,000=Wh

예) 20,000mAh,3.7V 보조배터리 :(20,000*3.7)/1,000=74Wh

2. 직접 소지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기내 휴대 수하물로 가져가야 합니다. 

위탁 수하물로 보낼 수 없으며, 기내에서도 선반이 아닌 몸에 직접 소지해야 합니다. 

3. 사전 승인

100Wh를 초과하는 보조배터리를 가져가야 한다면, 반드시 항공사에 사전 승인을 받으세요.

4. 안전한 보관

보조배터리의 단자를 테이프를 감싸거나 전용케이스에 넣어 보관하면 더욱 안전합니다. 

5. 최신 정보 확인

항공사 규정은 수시로 변경될수 있으므로, 출발 전 반드시 해당 항공사의 최신 규정을 확인하세요.

 

마치며

보조배터리는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지만, 항공기 내에서는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규정 강화는 모든 승객의 안전을 위한 조치입니다. 여행의 즐거움을 더하는 보조배터리가 오히려 불편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새로운 규정을 잘 숙지하고 준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